동경측지계 와 세계측지계

2012. 1. 2. 10:59일반상식

 

    동경측지계 와 세계측지계의 설명 국립해양조사원은 1952년부터 해도 간행시 사용해온 동경측지계(Tokyo Datum)를
    2002년 6월부터 세계측지계(World Geodetic System : WGS-84)로 변경해 해도를 간행하고 있습니다. 해상 및 육상의 위치 관측 체계를 의미하는 측지계(Geodetic System)는 세계 각국의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측지계에 의한 기준점을 정해 사용해 왔으나 최근 인공위성을 이용해 보다 정확한
    위치를 관측할 수 있는 세계측지계(WGS-84)가 개발돼 세계 각국에서 국제적 수로측량 기준으로
    이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로 우리나라의 경우 2001년 12월 19일 측량법이 개정되어
    세계측지계(WGS-84)사용 근거가 마련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1910년대의 「조선토지조사사업」을 위해 일본 동경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대마도를 거쳐
    거제도와 영도를 삼각측량법에 의해 연결해온 동경측지계를 사용해 해도와 육도를 제작해왔으나
    1980년대부터 인공위성을 이용한 측량기법의 발달로 각국에서 세계 측지계에 의한 좌표표시방법이
    실용화됨에 따라 우리나라 해도에도 세계측지계를 도입하기 위해 1996년부터 해도상 경위도 표시를
    동경측지계(흑색선)와 세계측지계(녹색선)로 병행 표시해 제작해왔습니다. 특히 2002년 6월부터 세계측지계로만 경위도를 표시한 해도를 단계적으로 간행해 2004년 12월말까지
    모든 해도를 세계측지계 단일 체계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간행할 계획이라 합니다. 따라서 해도제작은 단계적으로 단일화 하지만 2004년까지는 단일화된 해도뿐만 아니라
    세계측지계와 동경측지계가 병행 표시된 해도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기존의 동경측지계 해도와
    새로이 간행되는 세계측지계 해도를 이용자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해도의 육지색인 황색을 회색으로,
    해도번호 앞에 표기한 No는 W자로 변경되며 해도의 좌측상단에 자색으로 WGS-84도 표기하게 됩니다. 현재 우리나라 연안에서 동경측지계와 세계측지계의 위치 차이는 지역별로 다소 다를 수는 있으나
    약 3백∼4백m 차이가 있으므로 GPS 이용자가 자신이 사용중인 측지계가 어떤 측지계인지를 확인한 후
    사용하여야 하며, 지리적 죄표(경도,위도)를 통보하거나 위치보고시 어느 측지계에 의한 것인지를
    분명히 밝혀야 위치 오인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계 측지계로 변경하더라도 경위도 격자선만이 변하므로 위도 경도 좌표 수치가 변화할 따름이지
    실제 지리상 위치나 상대거리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어업협정 선이나 구역이 변경되거나 이동되지
    않으면 다만 그러한 선이나 구역을 표시하는 위도 및 경도 수치가 변경될 뿐입니다. x-text/html; charset=iso-8859-1" src=음악주소 loop="-1" wmode="transparent" allowNetworking="internal" x-x-allowscriptaccess="sameDomain">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을 위해 버려야 할 10가지 식습관  (0) 2014.01.01
RS232 포트 신호 설명과 연결  (0) 2013.04.08
우리몸의 신비한 비밀  (0) 2010.03.11
무릅관절 관리  (0) 2009.11.18
무릅관절 운동법  (0) 2009.11.18